관계형 데이터 모델링 프리미엄 가이드 DB구축 (2014년)
서브타입의 물리모델 변환 0 0 41,812

by 구루비스터디 서브타입 [2018.06.10]


  1. 서브 타입의 물리모델 변환
    1. 서브타입 분할 방법
    2. 타입1-분할
    3. 타입2-통합
    4. 타입3-혼합
  2. 예제
    1. 서브타입별 엔티티로 분할(타입1)
    2. 하나의 엔티티로 통합(타입2)
    3. 통합 엔티티와 개발 엔티티 혼합(타입3)
    4. 슈퍼타입 엔티티가 상위 엔티티인 모델
    5. 서브타입 엔티티가 상위 엔티티인 모델
      1. 예제


서브 타입의 물리모델 변환

  • 서브 타입 구조를 실제 물리 구조로 변환하는 것은 물리 모델링 단계이다.
  • 하지만 모델 구조를 확정하는 것은 빠를 수록 좋다.(필자의 생각)
    • 서브타입으로 도출된 엔티티는 핵심적인 엔티티일 가능성이 커 물리 모델링 단계에서 변경되면 영향이 크기 때문


서브타입 분할 방법




타입1-분할
  • 서브타입별 업무가 서로 독립적일 때
  • 서브타입별 속성이 많이 다를 때
  • 서브타입별 관계가 많이 다를 때
  • 모든 서브타입을 동시에 조회하는 경우가 드물 때
  • 서브타입별 주 식별자가 상호 배타적이 아닐 때
  • 서브타입이 업무적으로 서로 약 결합(Loosely Coupled) 관계일 때


타입2-통합
  • 서브타입별 고유 속성이 적을 때
  • 속성이 지속적으로 늘어날 가능성이 작을 때
  • 하나의 서브타입은 속성도 많고 업무도 중요하며 나머지 서브타입은 덜 중요할 때
  • 서브타입 전체를 대상으로 하는 업무가 빈번할 때
  • 데이터 건수가 많지 않을 때
  • 업무가 중요하지 않을 때
  • 서브타입이 서로 포함(Included) 관계일 때
  • 서브타입이 업무적으로 서로 강 결합(Tightly Coupled) 관계일 때


타입3-혼합
  • 서브타입별 공통 속성을 대상으로 하는 업무가 빈번할 때
  • 통합(타입2)하면 속성 개수가 너무 많아질 때
  • 업무의 변화가 빈번해 속성이 자주 추가될 때
  • 서브타입별 고유 속성이 많을 때
  • 트랜잭션의 락(Lock)을 방지하기 위해 엔티티를 분리해야 할 때
  • 공통 업무와 고유 업무가 다양하게 존재할 때
  • 중요 속성과 참고 속성으로 분리될 수 있을 때
  • 슈퍼타입의 조회가 빈번하고 조회 범위가 넓을 때
  • 서브타입이 업무적으로 서로 강 결합(Tightly Coupled) 관계일 때


예제



서브타입별 엔티티로 분할(타입1)



  • 별도 엔티티 생성시 엔티티명을 숙고해서 결정한다.(정규직 -> 정규직사원, 계약직 -> 계약직사원)
  • 슈퍼타입의 속성은 모두 개별 엔티티에 포함되어야 한다.(사원ID, 사원명, 입사일자, 부서코드)
  • 서브타입의 구분자 역할을 하던 사원구분코드 속성은 삭제한다.
  • 사원ID가 정규직 사원이나 계약직 사원 사이에서 중복되는 것을 체크하기 위한 트리거



-- 정규직사원 테이블의 사원ID 체크하기 위한 trigger 생성
CREATE TRIGGER TR_정규직사원_사원ID
BEFORE INSERT ON 정규직사원
FOR EACH ROW
DECLARE num INTEGER
BEGIN
SELECT COUNT(*) INTO num FROM 계약직사원 WHERE 사원ID = :NEW.사원ID
IF(num > 0) THEN
--에러 처리
END IF;
END;

-- 계약직사원 테이블의 사원ID 체크하기 위한 trigger 생성
CREATE TRIGGER TR_계약직사원_사원ID
BEFORE INSERT ON 계약직사원
FOR EACH ROW
DECLARE num INTEGER
BEGIN
SELECT COUNT(*) INTO num FROM 정규직사원 WHERE 사원ID = :NEW.사원ID
IF(num > 0) THEN
--에러 처리
END IF;
END;


  • 어플리케이션에서 이런 로직을 구현할수도 있지만 데이터베이스에서 원천적으로 체크하는 것이 바람직
  • 필자의 의견: 비슷한 유형의 엔티티를 통합된 데이터로 관리하기 위해 일반화한것인데 다시 별도의 엔티티로 돌아가기 때문에 회의적인 입장


상대적 장점
  • 엔티티의 속성이 근본적으로 구분되므로 엔티티를 명확하게 관리할 수 있다.
  • 개별 서브타입을 사용하는 요건(조회)이 많을때 효율적이다.
  • 각 엔티티에 해당하는 업무에 대해 상호 영향을 미치지 않고 처리할 수 있다. 즉 정규직사원 엔티티에 속성을 추가할 때 계약직사원 엔티티에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
  • 각 엔티티의 크기가 줄어든다.
  • 정규직사원과 계약직사원 엔티티를 동시에 조회하는 요건이 없다면(Loosely Coupled) UNION 구문이 필요없으므로 성능 면에서 유리하다. 또한 슈퍼타입과 서브타입 엔티티의 조인(Join)이 필요 없으므로 성능에 유리하다.
  • 널(Null) 값을 갖는 속성이 줄어든다.


상대적 단점
  • 정규직 사원과 계약직 사원을 동시에 조회하는 요건이 있을때(Tightly Coupled) UNION 등이 발생하며 SQL이 복잡해지고 성능 면에서 불리해진다.
  • 사원구분코드 속성과 같이 서브타입을 구분하는 속성을 업무에서 사용하면 처리하기 불편하다.
  • 시퀀스나 채번 관리 엔티티를 사용해 주 식별자 값을 생성하기 복잡하다.
  • 업무는 개별적으로 처리돼도 데이터는 통합된 모습이 아니므로 DW등의 요건에 의해 조회가 복잡해질 수 있다.
  • 속성이 반복됨으로써 넓은 의미로 1정규형이 아니다.


하나의 엔티티로 통합(타입2)




  • 슈퍼타입에 통합되므로 슈퍼타입명을 따른다.(사원)
  • 서브타입을 구분하는 사원구분코드 속성이 반드시 존재한다.
  • 다른 서브타입에 해당하는 속성의 값은 NULL이 되므로 NULL값이 많이 발생한다.
  • 업무 규칙을 반영한 CHECK 제약조건(모델만으로는 업무규칙을 알 수 없으므로 추가하여 관리)



CONSTRAINT ck_사원구분
CHECK ((사원구분코드 = '정규직' AND
월급여 IS NOT NULL AND
연차휴가 IS NOT NULL AND
과정코드 IS NOT NULL AND
시급여 IS NULL AND
추가수당 IS NULL AND
계약기간 IS NULL)
OR
(사원구분코드 = '계약직' AND
월급여 IS NULL AND
연차휴가 IS NULL AND
과정코드 IS NULL AND
시급여 IS NOT NULL AND
추가수당 IS NOT NULL AND
계약기간 IS NOT NULL));


  • 필자의 의견: 데이터를 가능한 통합하는 것이 원칙으로 핵심적인 엔티티가 아니라면 이처럼 하나의 엔티티로 통합
  • 어플리케이션에서 빈번히 사용되는 중요한 엔티티라면 서브타입별 고유 속성이 많이 존재하며 지속적으로 늘어날 가능성이 있는지등의 기준으로 타입을 결정한다.


상대적 장점
  • 슈퍼타입과 서브타입의 조인이 발생하지 않아 조회 SQL이 단순해지고 성능이 좋아질 때가 많다.
  • 엔티티의 수가 감소해 관리가 용이해진다.
  • 복잡한 관계가 없어져 모델이 단순해지고 ERD를 관리하기 편하다.
  • 주 식별자를 관리히가 편하다.
  • 전체 서브타입을 검색할 때 UNION이 발생하지 않아 성능 측면에서 효율적이다.


상대적 단점
  • 엔티티의 속성 개수와 인덱스가 많아져 크기가 증가한다.
  • NULL값이 존재하는 속성이 많아진다.
  • 정규직 사원이나 계약직 사원에 대한 업무가 추가되거나 변경되면 어플리케이션에 끼치는 영향이 커진다.
  • 업무 규칙을 모델에 표현하기 어렵다.
  • 공통 속성만을 조회하는 요건이 빈번하거나 조회 범위가 넓으면 IO가 많아져 성능이 나빠진다.
  • 엔티티의 정체성이 희석될 수 있다.
  • 서브타입 해당 속성에 NOT NULL 제약을 설정할 수 없다.


통합 엔티티와 개발 엔티티 혼합(타입3)

  • 슈퍼타입과 서브타입 도출 의도를 가장 잘 반영한 모델로 업무 규칙이 잘 반영돼 커뮤니케이션이 원활해진다.
  • 데이터가 주로 함께 사용돼 통합하는 게 좋지만 통합하면 속성 개수가 너무 많아질 때 유용하게 사용된다.
  • 통합 엔티티: 공통 속성 + 자주 사용되는 속성, 개별 엔티티: 고유 속성(필자의 의견)
  • 사원 엔티티에 존재하는 공통 속성 위주로 수행되는 업무가 많다면 이 방법을 사용한다.
  • 서브 타입별로 고유 속성이 많을 때는 서브 타입간의 데이터 성격이 다르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위와 같이 구분하는 것이 좋다.
  • 해당 엔티티가 업무적으로 자주 사용되는 중요한 엔티티이며 슈퍼타입 엔티티만으로 업무가 빈번하게 처리될 때 선택한다.
  • 서브타입을 구분하는 사원구분코드 속성은 반드시 존재해야 한다.


상대적 장점
  • 슈퍼타입인 통합 엔티티의 한블록에 많은 인스턴스가 저장되므로 핵심 조회 요건의 성능이 좋아질 때가 많다.
  • 모델에 업무 규칙이 표현되므로 모델의 가독성이 높아진다.
  • 추가 업무로 말미암은 어플리케이션 변경 영향이 줄어든다. 즉, 변경 요건이 사원/계약직사원/정규직사원 엔티티에 분산되며 슈퍼타입인 사원 엔티티에 속성이 추가되지 않도록 관리할 수 있다.
  • 집계나 DW의 요건을 만족할 가능성이 커진다. 이는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지만 전사 차원에서 고려하면 바람직하다.
  • 데이터 저장 공간을 가장 효율적으로 사용한다.


상대적 단점
  • 조회 요건에 따라 조인이나 조인후의 유니온등이 발생해 성능 효율이 떨어질 있다.
  • 여러 엔티티로 나뉘어 관리가 어려워진다.
  • 배타/중복/Complete/Incomplete 서브타입의 종류에 따라 인스턴스를 발생시키는데 있어 혼선이 발생할 수 있다.
  • 계약직사원/정규직사원 에티티의 주 식별자 값이 띄엄띄엄 생긴다.


슈퍼타입 엔티티가 상위 엔티티인 모델



  • 통합 엔티티와 개별 엔티티 사이에 1:1 관계가 발생한다.
  • 중복 서브타입이나 Incomplete 서브타입 등 모든 서브타입을 관리할 수 있는 모델이다.


서브타입 엔티티가 상위 엔티티인 모델



  • 배타 서브타입과 Complete 서브타입 모델(가장 많이 발생)
  • 서브타입을 배타 관계로 관리하면 보통 RI(Reference Integrety)를 생성할 수 없다.
  • 서브타입을 배타 관계로 관리하면 주 식별자를 관리하기 복잡해진다.


예제

  • 서브타입인 개인고객과 법인고객이 슈퍼타입인 고객 엔티티와 배타 관계가 존재하는 모델
  • 배타 관계를 가지는 서브타입 모델



  • 고객 엔티티의 주 식별자는 인조 식별자인 고객번호이다.
  • 개인고객과 법인고객은 상호 배타적이므로 고객고유번호라는 하나의 통합된 속성으로 관리한다.(주민등록번호 OR 법인등록번호)
  • 고객고유번호 속성은 NOT NULL 속성을 가지며 고객구분코드와 고객고유번호를 묶어 유니크 인덱스로 생성하면 원천적으로 업무규칙을 관리해 무결성 유지가 가능하다.
  • 고객구분코드라는 구분자를 관리한다.
  • 고객 엔티티보다 개인고객/법인고객 엔티티에 데이터가 먼저 발생한다.
  • 주민등록번호는 변경될 수 있어 주 식별자로 사용하기 무리가 있다.


주 식별자가 동일한 배타 관계 모델



  • 개인고객 엔티티에 데이터를 insert 할때 고객번호를 체크하기 위해 트리거가 필요하다.(법인고객도 필요)



CREATE TRIGGER tg_개인고객_고객번호
BEFORE INSERT OR UPDATE OF 고객번호
ON 개인고객
FOR EACH ROW
DECLARE
num INTEGER := 0;
BEGIN
IF (INSERTING OR
(UPDATING AND :new.고객번화 <> :old.고객번호)) THEN
SELECT COUNT(*)
INTO num
FROM 법인고객
WHERE 고객번호 = :new.고객번호
IF(num <> 0) THEN
--에러 처리
END IF;
END IF;
END;


  • 아니면 고객 엔티티에서 고객번호를 관리하거나 어플리케이션에서 로직으로 체크한다.
  • 고객의 고객번호에 대해 개인고객/법인고객의 고객번호와 모두 참조 무결성 제약을 설정할 수 없다.


배타 속성을 사용하지 않는 배타 관계 모델



  • '고객고유번호' 대신 주민등록번호/법인등록번호 속성을 FK로 사용한다.
  • 고객 엔티티의 주민등록번호/법인등록번호 속성은 NULLABLE 해야 한다.
  • 둘 중의 하나만 반드시 존재해야 한다는 관계를 제약하기 위해 아래와 같은 함수기반인덱스를 생성할 수도 있다.



CREATE UNIQUE INDEX IX_고객 ON 고객(CASE WHEN 고객구분코드 = '개인' THEN 주민등록번호 WHEN 고객구분코드 = '법인' THEN 법인등록번호 END)


  • 배타 관계의 두속성을 별도로 관리하면 조회 요건을 복잡하게 만들기 때문에 이런 모델은 자주 사용되지 않는다.
"구루비 데이터베이스 스터디모임" 에서 2014년에 "관계형 데이터 모델링 프리미엄 가이드" 도서를 스터디하면서 정리한 내용 입니다.

- 강좌 URL : http://www.gurubee.net/lecture/3608

- 구루비 강좌는 개인의 학습용으로만 사용 할 수 있으며, 다른 웹 페이지에 게재할 경우에는 출처를 꼭 밝혀 주시면 고맙겠습니다.~^^

- 구루비 강좌는 서비스 제공을 위한 목적이나, 학원 홍보, 수익을 얻기 위한 용도로 사용 할 수 없습니다.

댓글등록
SQL문을 포맷에 맞게(깔끔하게) 등록하려면 code() 버튼을 클릭하여 작성 하시면 됩니다.
로그인 사용자만 댓글을 작성 할 수 있습니다. 로그인, 회원가입